HTML abbr 태그, 생략 속에서도 의미를 정확히 전하는 기술

HTML abbr 태그 개념을 소개하는 비버 일러스트 썸네일

HTML abbr & dfn 태그 – 용어 설명을 우아하게! HTML 문서에서 특정 용어나 약어를 사용자에게 더 친절하게 전달하고 싶을 때, 그냥 텍스트로만 보여주기엔 아쉽습니다. 그럴 땐 abbr와 dfn 태그를 활용하면 툴팁도 보여주고 의미도 정확히 전달할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이 두 태그를 개별로 설명하고,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예시도 다양하게 소개해 볼게요. Step 1. abbr … 더 읽기

HTML 코드, 왜 줄바꿈이 안 돼? 내가 적은 그대로 보이게 하려면 pre 코드

HTML에서 줄바꿈과 공백을 그대로 보여주는 pre 태그의 개념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이미지. ASCII 토끼 예제가 코드박스 안에 포함되어 있으며, 시크한 느낌의 캐릭터가 키보드를 두드리는 모습으로 코딩을 상징.

HTML에서 줄바꿈과 공백 유지하기 – pre 태그 완전 이해하기 HTML로 글을 쓰다 보면 이런 상황을 자주 만나게 됩니다. “띄어쓰기를 여러 번 했는데 한 칸만 보여요!” “엔터를 쳤는데 왜 줄바꿈이 안 되죠?” 이런 문제를 해결해주는 태그가 바로 pre 태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pre 태그의 원리부터 다양한 예제까지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드립니다. Step 1. 왜 pre … 더 읽기

HTML 코드 쓰면 실행돼버려요! 글씨로 보여주려면 이렇게

HTML에서 코드를 보여주는 방법을 설명하는 썸네일 이미지. 선글라스를 낀 시크한 비버 캐릭터가 코드 박스를 가리키는 모습.

HTML 코드 보여주기 – code 태그 완전정복! HTML 공부하다 보면 코드 예제를 글에 넣고 싶은데, 그냥 태그를 쓰면 실행돼버리는 일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p>문단입니다</p>를 보여주고 싶은데, 실제로는 문단이 만들어져버리죠. 이럴 때 필요한 게 바로 code 태그와 HTML 엔티티 변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이 방법을 완벽하게 정리해드립니다. Step 1. 그냥 쓰면 어떻게 될까? 예를 들어 HTML 포스트에 … 더 읽기

HTML에서 줄 긋고 밑줄? del과 ins로 정석 표현하자!

html del ins 태그와 삭제 및 추가 표현을 설명하는 비버 캐릭터 일러스트

HTML del / ins 태그, 웹에서 삭제와 추가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법 웹사이트를 운영하다 보면 글을 수정하거나 가격을 바꾸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때 단순히 글씨에 줄을 긋거나 밑줄을 긋는 것으로 끝내면 안 됩니다. 시맨틱 웹에서는 ‘삭제’와 ‘추가’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해야 합니다. 그 역할을 하는 태그가 바로 del과 ins입니다. 이번 글에서 이 두 태그를 완벽하게 알아봅니다. Step … 더 읽기

html 첨자 태그? sup·sub 제대로 안 쓰면 검색에도 안 뜹니다!

html sup sub 태그를 설명하는 비버 캐릭터 일러스트

HTML sub과 sup 태그, 아래·위 첨자 제대로 쓰기 웹 페이지를 만들다 보면 단순한 글씨 표현을 넘어서, 위 첨자와 아래 첨자를 써야 할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학 공식의 제곱 표현이나 화학식의 분자 수, 단위 표기에서 이런 경우가 자주 나오죠. 많은 사람들이 CSS로 글자 크기를 줄이고 위치를 조절해서 해결하려고 하지만, 시맨틱 웹의 관점에서 보면 이건 좋은 … 더 읽기

HTML small 태그, 부가 설명과 저작권 표기는 이렇게!

HTML small 태그를 설명하는 비버 캐릭터와 코드 시각화를 담은 정사각형 디지털 일러스트

HTML small 태그, 작게 쓰는 게 전부일까? 웹 페이지를 만들다 보면 ‘덜 중요한 정보’를 표현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작권 안내나 부가 설명 같은 부분이죠. 이런 경우 단순히 글자를 작게 만드는 게 아니라, 의미까지 담아야 합니다. 대부분의 초보자는 글자를 작게 만들기 위해 CSS의 font-size를 사용하지만, 시맨틱 웹을 고려하면 더 좋은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그 … 더 읽기

HTML에서 aside 태그를 제대로 쓰면 콘텐츠가 달라진다

HTML aside 태그의 의미와 용도를 시각적으로 설명한 그래픽

보조 정보의 공간을 만드는 시맨틱 태그, <aside> 1. <aside> 태그란? <aside> 태그는 문서의 주된 흐름과는 다소 떨어진 보조적인 콘텐츠를 정의할 때 사용됩니다. 이 태그 안에는 관련 링크, 광고, 참고 정보, 요약 정리 같은 보완 정보가 들어갑니다. 특히 블로그의 사이드바, 기사 중간의 팁 박스, 뉴스레터 구독 폼 등에서 자주 쓰입니다. 단순한 레이아웃이 아닌, 문맥적으로도 본문과 구분되는 … 더 읽기

웹사이트를 안내하는 HTML의 나침반, nav 태그 이해하기

웹페이지 내 내비게이션 구조를 깔끔하게 시각화한 HTML nav 태그 예시 이미지

웹사이트 구조를 책임지는 HTML의 길잡이, <nav> 태그 1. <nav> 태그란? <nav> 태그는 웹페이지의 내비게이션(길잡이 역할)을 담당하는 영역을 명시합니다. 흔히 웹사이트 상단 메뉴, 사이드바 메뉴, 푸터의 링크 목록 등에 쓰입니다. 이 태그 안에 있는 링크들은 페이지나 사이트 내에서 주요한 이동 경로를 담당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더 쉽게 목적지를 찾을 수 있습니다. 시맨틱 태그답게 <nav>는 단순한 시각적 배치가 … 더 읽기

HTML 본문에 div만 쓰시나요? 이제는 main으로 구조를 잡자!

HTML 페이지를 구성하는 메인 콘텐츠 구조를 나타내는 시크한 비버 일러스트

웹페이지의 주인공 무대, <main> 태그란? 1. <main> 태그의 정체, 대체 뭘까? <main> 태그는 HTML 문서 안에서 가장 핵심적인 ‘본문 콘텐츠’를 담는 용도로 사용돼요. 여기서 말하는 본문은 **페이지의 중심 주제**와 **핵심 내용을 의미**하죠. 예를 들어 블로그라면 글 본문, 쇼핑몰이라면 상품 목록, 뉴스 사이트라면 기사 내용이 바로 <main>에 들어갑니다. 반대로 **로고, 메뉴, 사이드바, 푸터**처럼 반복되는 UI 요소는 … 더 읽기

HTML 페이지 하단을 구성하는 핵심, footer 태그의 역할

HTML 푸터 정보를 설명하는 비버 캐릭터 일러스트 썸네일 이미지

페이지의 마지막 인사, <footer> 태그 완전정복 1. <footer> 태그란? <footer> 태그는 웹페이지나 특정 구역의 ‘꼬리말’을 의미합니다. 사이트 전체의 저작권, 연락처, 사이트맵, 관련 링크 등을 담는 데 쓰이며, 마치 책의 말미에 들어가는 ‘출판 정보’처럼 기능하죠. 꼭 페이지 맨 아래에만 써야 한다는 제한은 없지만, 의미상 정보의 정리나 마무리를 담당하는 위치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습니다. 문서 전체나 섹션,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