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에서 줄 긋고 밑줄? del과 ins로 정석 표현하자!

html del ins 태그와 삭제 및 추가 표현을 설명하는 비버 캐릭터 일러스트

HTML del / ins 태그, 웹에서 삭제와 추가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법 웹사이트를 운영하다 보면 글을 수정하거나 가격을 바꾸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때 단순히 글씨에 줄을 긋거나 밑줄을 긋는 것으로 끝내면 안 됩니다. 시맨틱 웹에서는 ‘삭제’와 ‘추가’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해야 합니다. 그 역할을 하는 태그가 바로 del과 ins입니다. 이번 글에서 이 두 태그를 완벽하게 알아봅니다. Step … 더 읽기

html 첨자 태그? sup·sub 제대로 안 쓰면 검색에도 안 뜹니다!

html sup sub 태그를 설명하는 비버 캐릭터 일러스트

HTML sub과 sup 태그, 아래·위 첨자 제대로 쓰기 웹 페이지를 만들다 보면 단순한 글씨 표현을 넘어서, 위 첨자와 아래 첨자를 써야 할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학 공식의 제곱 표현이나 화학식의 분자 수, 단위 표기에서 이런 경우가 자주 나오죠. 많은 사람들이 CSS로 글자 크기를 줄이고 위치를 조절해서 해결하려고 하지만, 시맨틱 웹의 관점에서 보면 이건 좋은 … 더 읽기

HTML small 태그, 부가 설명과 저작권 표기는 이렇게!

HTML small 태그를 설명하는 비버 캐릭터와 코드 시각화를 담은 정사각형 디지털 일러스트

HTML small 태그, 작게 쓰는 게 전부일까? 웹 페이지를 만들다 보면 ‘덜 중요한 정보’를 표현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작권 안내나 부가 설명 같은 부분이죠. 이런 경우 단순히 글자를 작게 만드는 게 아니라, 의미까지 담아야 합니다. 대부분의 초보자는 글자를 작게 만들기 위해 CSS의 font-size를 사용하지만, 시맨틱 웹을 고려하면 더 좋은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그 … 더 읽기

HTML 구분선 hr 태그, 선 하나로 콘텐츠 흐름 살리기!

HTML hr 태그를 소개하는 정보성 콘텐츠를 나타내는 디지털 일러스트

HTML에서 구분선을 넣는 태그, <hr> 완전 해부! 웹 페이지를 읽다 보면 ‘여기서 한 호흡 쉬어야겠다’ 싶은 지점이 있죠. 글의 분위기를 바꾸거나, 본문과 요약을 나누거나, 여러 항목을 정돈하는 데 꼭 필요한 것이 바로 구분선입니다. HTML에서는 이 구분선을 <hr> 태그 하나로 삽입할 수 있어요. 이름부터 직관적인데요, horizontal rule, 즉 수평선을 의미하죠. 단순한 선 한 줄이지만, 독자에게는 ‘이전 … 더 읽기

HTML에서 줄바꿈이 안 될 때? br 태그 하나로 해결하세요!

HTML 줄바꿈을 설명하는 비버 마스코트 썸네일 이미지

HTML에서 줄바꿈이 필요할 때 쓰는 태그, <br> 완전정복! 텍스트를 예쁘게 정리해 보여주고 싶었는데, 화면에서는 줄이 이어져 나와 당황해본 적 있으신가요? HTML에서는 우리가 엔터키를 눌러 줄을 바꿨다고 해서 그대로 표현되지 않아요. 이때 등장하는 게 바로 오늘의 주인공 <br> 태그입니다. 단순하지만, 알아두면 HTML 글쓰기가 훨씬 자연스러워져요! Step 1. <br> 태그는 어떤 역할을 할까? <br>은 break line의 줄임말로, … 더 읽기

HTML에서 aside 태그를 제대로 쓰면 콘텐츠가 달라진다

HTML aside 태그의 의미와 용도를 시각적으로 설명한 그래픽

보조 정보의 공간을 만드는 시맨틱 태그, <aside> 1. <aside> 태그란? <aside> 태그는 문서의 주된 흐름과는 다소 떨어진 보조적인 콘텐츠를 정의할 때 사용됩니다. 이 태그 안에는 관련 링크, 광고, 참고 정보, 요약 정리 같은 보완 정보가 들어갑니다. 특히 블로그의 사이드바, 기사 중간의 팁 박스, 뉴스레터 구독 폼 등에서 자주 쓰입니다. 단순한 레이아웃이 아닌, 문맥적으로도 본문과 구분되는 … 더 읽기

웹사이트를 안내하는 HTML의 나침반, nav 태그 이해하기

웹페이지 내 내비게이션 구조를 깔끔하게 시각화한 HTML nav 태그 예시 이미지

웹사이트 구조를 책임지는 HTML의 길잡이, <nav> 태그 1. <nav> 태그란? <nav> 태그는 웹페이지의 내비게이션(길잡이 역할)을 담당하는 영역을 명시합니다. 흔히 웹사이트 상단 메뉴, 사이드바 메뉴, 푸터의 링크 목록 등에 쓰입니다. 이 태그 안에 있는 링크들은 페이지나 사이트 내에서 주요한 이동 경로를 담당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더 쉽게 목적지를 찾을 수 있습니다. 시맨틱 태그답게 <nav>는 단순한 시각적 배치가 … 더 읽기

article 태그, HTML 콘텐츠를 더 똑똑하게 나누는 법

article 태그, 독립된 콘텐츠의 주인공

독립된 콘텐츠 단위를 표현하는 <article> 태그 완전정복 1. <article> 태그란? <article> 태그는 블로그 글, 뉴스 기사, 게시판 글 등 **독립적으로 의미를 갖는 콘텐츠**를 담을 때 사용합니다. RSS 피드나 공유 기능을 통해 따로 떼어 보여줘도 완결성이 있는 콘텐츠일 때 주로 사용돼요. 즉, 페이지 안에서 ‘하나의 글’, ‘하나의 게시물’을 담당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검색엔진에게도 이 영역이 하나의 정보 … 더 읽기

HTML 콘텐츠 구역 나누기, section 태그로 깔끔하게!

HTML 섹션 구조를 설명하는 시크한 비버 캐릭터의 삽화 이미지

문서 안의 구역을 만드는 HTML의 핵심, <section> 태그 1. <section> 태그란? <section> 태그는 HTML 문서에서 의미 있는 구역을 나눌 때 사용하는 구조적 태그입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 포스트에서 ‘최근 글’, ‘인기 글’, ‘댓글 영역’ 같은 각각의 영역을 구분하고자 할 때 <section>을 사용합니다. 이 태그는 단순히 ‘나눠놓는다’는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라, 문서의 주제를 나누는 목적이 있습니다. 즉, … 더 읽기

HTML 본문에 div만 쓰시나요? 이제는 main으로 구조를 잡자!

HTML 페이지를 구성하는 메인 콘텐츠 구조를 나타내는 시크한 비버 일러스트

웹페이지의 주인공 무대, <main> 태그란? 1. <main> 태그의 정체, 대체 뭘까? <main> 태그는 HTML 문서 안에서 가장 핵심적인 ‘본문 콘텐츠’를 담는 용도로 사용돼요. 여기서 말하는 본문은 **페이지의 중심 주제**와 **핵심 내용을 의미**하죠. 예를 들어 블로그라면 글 본문, 쇼핑몰이라면 상품 목록, 뉴스 사이트라면 기사 내용이 바로 <main>에 들어갑니다. 반대로 **로고, 메뉴, 사이드바, 푸터**처럼 반복되는 UI 요소는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