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abbr 태그, 생략 속에서도 의미를 정확히 전하는 기술

HTML abbr 태그 개념을 소개하는 비버 일러스트 썸네일

HTML abbr & dfn 태그 – 용어 설명을 우아하게! HTML 문서에서 특정 용어나 약어를 사용자에게 더 친절하게 전달하고 싶을 때, 그냥 텍스트로만 보여주기엔 아쉽습니다. 그럴 땐 abbr와 dfn 태그를 활용하면 툴팁도 보여주고 의미도 정확히 전달할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이 두 태그를 개별로 설명하고,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예시도 다양하게 소개해 볼게요. Step 1. abbr … 더 읽기

HTML figure 태그로 이미지+설명+출처까지 완벽하게 정리하기

HTML figure 태그를 활용해 이미지, 설명, 출처를 정리하는 장면을 표현한 비버 캐릭터 일러스트

HTML figure 태그 완전정복 HTML figure 태그 – 콘텐츠와 설명을 세트로 묶는 법 웹페이지를 만들다 보면 단순히 이미지만 넣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이미지를 넣다 보면 이런 생각이 들죠. “이 이미지가 뭘 의미하는지 설명도 같이 넣고 싶은데?” 예를 들어 차트를 보여주고 출처를 적거나, 유머짤을 보여주면서 부연 설명을 하고 싶을 때 말입니다. 이럴 때 사용하는 태그가 바로 … 더 읽기

HTML에서 줄 긋고 밑줄? del과 ins로 정석 표현하자!

html del ins 태그와 삭제 및 추가 표현을 설명하는 비버 캐릭터 일러스트

HTML del / ins 태그, 웹에서 삭제와 추가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법 웹사이트를 운영하다 보면 글을 수정하거나 가격을 바꾸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때 단순히 글씨에 줄을 긋거나 밑줄을 긋는 것으로 끝내면 안 됩니다. 시맨틱 웹에서는 ‘삭제’와 ‘추가’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해야 합니다. 그 역할을 하는 태그가 바로 del과 ins입니다. 이번 글에서 이 두 태그를 완벽하게 알아봅니다. Step … 더 읽기

웹사이트를 안내하는 HTML의 나침반, nav 태그 이해하기

웹페이지 내 내비게이션 구조를 깔끔하게 시각화한 HTML nav 태그 예시 이미지

웹사이트 구조를 책임지는 HTML의 길잡이, <nav> 태그 1. <nav> 태그란? <nav> 태그는 웹페이지의 내비게이션(길잡이 역할)을 담당하는 영역을 명시합니다. 흔히 웹사이트 상단 메뉴, 사이드바 메뉴, 푸터의 링크 목록 등에 쓰입니다. 이 태그 안에 있는 링크들은 페이지나 사이트 내에서 주요한 이동 경로를 담당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더 쉽게 목적지를 찾을 수 있습니다. 시맨틱 태그답게 <nav>는 단순한 시각적 배치가 … 더 읽기

HTML 페이지 하단을 구성하는 핵심, footer 태그의 역할

HTML 푸터 정보를 설명하는 비버 캐릭터 일러스트 썸네일 이미지

페이지의 마지막 인사, <footer> 태그 완전정복 1. <footer> 태그란? <footer> 태그는 웹페이지나 특정 구역의 ‘꼬리말’을 의미합니다. 사이트 전체의 저작권, 연락처, 사이트맵, 관련 링크 등을 담는 데 쓰이며, 마치 책의 말미에 들어가는 ‘출판 정보’처럼 기능하죠. 꼭 페이지 맨 아래에만 써야 한다는 제한은 없지만, 의미상 정보의 정리나 마무리를 담당하는 위치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습니다. 문서 전체나 섹션, … 더 읽기

HTML 본문의 핵심, body 태그

선글라스를 낀 비버 캐릭터가 노트북을 사용하는 모습과 태그를 강조한 썸네일

웹페이지의 본문을 품는 그릇, <body> 태그 완전정복 1. <body> 태그란 무엇인가요? <body> 태그는 HTML 문서의 본문 내용을 감싸는 아주 핵심적인 태그입니다. 우리가 웹브라우저에서 보는 텍스트, 이미지, 버튼, 링크 등 모든 시각적 요소는 <body> 안에 있어야 화면에 표시됩니다. 이 태그는 <html> 태그 내부에서 <head>와 함께 등장하며, 실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영역은 <body> 부분이 담당하죠. 즉, 웹페이지의 얼굴과 … 더 읽기

HTML에서 외부 리소스를 불러올 땐? link 태그로 한 방에

외부 CSS와 파비콘을 연결하는 HTML 링크 태그를 소개하는 시크한 비버 일러스트 썸네일

웹페이지를 외부와 연결해주는 열쇠, <link> 태그 완전정복 1. <link> 태그가 뭐예요? HTML 문서만으로는 디자인도 없고, 아이콘도 없고, 웹사이트가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어요. 이럴 때 <link> 태그를 사용하면 외부의 리소스—예를 들어 CSS, 파비콘(favicon), 글꼴 등—를 불러올 수 있어요. 이 태그는 <head> 내부에 위치하며, 웹페이지가 로드될 때 필요한 외부 리소스를 브라우저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해요. 즉, 스타일과 정체성을 … 더 읽기

잘 보이지 않지만 HTML의 품질을 책임지는 핵심 태그, meta의 모든 것

메타 태그를 설명하는 시크한 비버 일러스트 썸네일

HTML에서 꼭 써야 할 <meta> 태그, 왜 중요할까? 1. 보이지 않아도 없어선 안 될 태그 브라우저 창을 열었을 때 가장 먼저 만나는 건 눈에 보이는 콘텐츠가 아닙니다. 페이지 상단의 <head> 영역, 그 안에 숨어 있는 <meta> 태그가 사이트의 기본 성격을 정해요. 이 태그들은 ‘웹사이트 설명서’ 같은 존재로, 인코딩 방식, 검색엔진 노출, 모바일 화면 대응까지 조용히 … 더 읽기

제목이 둘? HTML에서 왜 title과 h1을 나눠 쓸까?

vs - HTML 제목 태그 비교 썸네일

HTML에서 제목은 어디에 쓰는 걸까? <title> vs <h1> 1. 겉과 속이 다른 두 제목 웹페이지를 처음 열었을 때, 브라우저 탭에 보이는 문구와 화면 안에 있는 큰 글자가 다르다는 걸 느껴본 적 있나요? 사실 이 둘은 모두 ‘제목’이라는 역할을 하지만 서로 전혀 다른 영역에서 활동합니다. <title>은 무대 뒤에서 조명을 조절하는 조명감독 같은 존재고, <h1>은 무대 위에서 … 더 읽기

HTML em 태그, 아직도 기울이기만 한다고요? 이제 정확히 알자!

HTML em 태그를 설명하는 시크한 비버 캐릭터 썸네일 이미지

HTML 의미 강조 태그 <em> 완벽 가이드 의미 강조는 <em>으로! 단순 기울임이 아닙니다 대화 중에 “진짜야!” 하고 말하는 그 순간처럼, HTML에서도 특별히 강조하고 싶은 단어는 있죠. 하지만 <b>보다 더 ‘의미 있는 강조’를 원할 땐, 바로 <em>을 써야 합니다. 이 태그는 단순한 스타일이 아닌, ‘의도된 강조’를 표현하기 위해 탄생했어요. 이 포스팅에서 진짜 쓰임새를 제대로 알아봅니다! 1.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