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에서 줄 긋고 밑줄? del과 ins로 정석 표현하자!

HTML del / ins 태그, 웹에서 삭제와 추가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법

웹사이트를 운영하다 보면 글을 수정하거나 가격을 바꾸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때 단순히 글씨에 줄을 긋거나 밑줄을 긋는 것으로 끝내면 안 됩니다.

시맨틱 웹에서는 ‘삭제’와 ‘추가’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해야 합니다.
그 역할을 하는 태그가 바로 delins입니다.
이번 글에서 이 두 태그를 완벽하게 알아봅니다.


Step 1. del 태그란?

deldelete의 줄임말입니다.
텍스트에 취소선을 넣는 태그로, “이 내용은 삭제되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코드
<del>5,000원</del>
렌더링 결과

5,000원

이렇게 작성하면 단순한 디자인이 아니라, 문서의 변경 사항을 구조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Step 2. ins 태그란?

insinsert의 줄임말입니다.
텍스트에 밑줄을 넣으며, “이 내용은 새로 추가되었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하지만 일부 브라우저나 환경에서는 밑줄이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경우 text-decoration: underline; 속성을 명시적으로 지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코드
<ins style="text-decoration: underline;">4,000원</ins>
렌더링 결과

4,000원

이렇게 하면 모든 환경에서 추가된 정보임을 확실하게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Step 3. 왜 꼭 del / ins을 써야 할까?

시맨틱 웹에서는 정보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CSS로 취소선이나 밑줄을 그릴 수도 있지만, 검색엔진이나 스크린리더는 그걸 “삭제”나 “추가”로 인식하지 못합니다.

SEO와 접근성까지 생각한다면 꼭 del / ins을 사용해야 합니다.


Step 4. 자주 쓰는 예제 모음

실제 웹에서 del / ins은 이런 상황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 1. 삭제만 할 때
    코드
    <del>공지사항 삭제됨</del>

    렌더링 결과

    공지사항 삭제됨

  • 2. 추가만 할 때
    코드
    <ins style="text-decoration: underline;">신규 공지사항 등록</ins>

    렌더링 결과

    신규 공지사항 등록

  • 3. 가격 변경
    가격이 바뀔 때 원래 가격새로운 가격으로 표시합니다.

    코드
    <del>5,000원</del> → <ins style="text-decoration: underline;">4,000원</ins>

    렌더링 결과

    5,000원4,000원

  • 4. 서비스 수정 공지
    기존 내용을 삭제하고 새로운 내용을 추가할 때 사용합니다.

    코드
    <del>기존 서비스 제공 종료</del> <ins style="text-decoration: underline;">신규 서비스 시작</ins>

    렌더링 결과

    기존 서비스 제공 종료 신규 서비스 시작

  • 5. 블로그 수정 내역
    글을 수정했을 때 삭제된 부분과 추가된 부분을 명확히 구분합니다.

    코드
    <del>오전 9시까지 배송</del> <ins style="text-decoration: underline;">오후 1시까지 배송</ins>

    렌더링 결과

    오전 9시까지 배송 오후 1시까지 배송


정리하며

delins는 단순한 꾸밈이 아닙니다.
삭제와 추가의 의미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시맨틱 태그입니다.

CSS로 비슷하게 표현할 수 있지만, 검색엔진과 접근성을 고려한다면 반드시 del과 ins을 사용하고,
ins 태그는 밑줄을 명시적으로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웹 개발자라면 이 태그를 정확히 이해하고 써야 합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