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입문 7편] 나만의 함수 만들기 (def)

파이썬 함수(def) 사용법, 파이썬 초보자 함수 만들기, 파이썬 함수 기초를 찾으시나요?
이번 글에서는 함수(def)가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 그리고 어떻게 만드는지 아주 쉽게 알려드릴게요.
복잡한 이론은 NO! 초보자가 이해하기 쉬운 구체적인 예제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

파이썬 함수(def) 개념을 소개하는 교육용 일러스트, 거북이 캐릭터가 '함수 만들기', '매개변수', 'return' 키워드를 가리키며 설명하는 장면
함수 생성과 매개변수, return 문법을 시각적으로 설명하는 파이썬 초보자용 학습 포스터

✅ 1️⃣ 함수란 무엇인가요?

함수란? 여러 번 사용할 코드를 미리 이름 붙여서 저장해두는 것!

생활 속 비유:
🍳 라면 끓이기 → 물 끓이기 → 면 넣기 → 스프 넣기 → 완성.
다음부턴 “라면 끓여!”만 하면 이 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되죠? 바로 그게 함수예요!

파이썬에서도 똑같아요.
자주 사용하는 코드 묶음에 이름을 붙여두면 나중에 쉽게 불러올 수 있어요.


✅ 2️⃣ 함수 만드는 방법 (def)

기본 구조:

def 함수이름():
    실행할 코드

🔎 예제 1 : 인사하는 함수

코드:

def say_hello():
    print("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say_hello()

출력:

👉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설명:
def → “나는 지금 함수를 만들거야” 라는 의미입니다.
say_hello → 함수 이름이에요. 원하는 이름을 자유롭게 정할 수 있어요.
(): → 괄호는 나중에 정보를 넣을 자리인데, 지금은 비워둡니다.
print() → 화면에 글씨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 마지막 줄 say_hello() → 만들어 놓은 함수를 실제로 불러서 사용합니다.

💡 생활 속 비유:
레시피 책에 라면 끓이는 방법을 적어두고, 나중에 “라면 끓여!”라고만 하면 방법을 일일이 다시 설명할 필요 없는 것과 같아요.


✅ 3️⃣ 함수에 입력값 주기 (매개변수)

기본 구조:

def 함수이름(입력값):
    실행할 코드

🔎 예제 2 : 이름을 받아 인사하기

코드:

def greet(name):
    print(f"{name}님, 안녕하세요!")

greet("마루")

출력:

👉 마루님, 안녕하세요!
설명:
name → **함수가 받을 값**입니다. (매개변수)
greet("마루") → greet 함수에 ‘마루’라는 값을 넣어서 name 자리에 전달합니다.
print(f"...") → f-string을 사용해서 name에 들어간 값을 문장에 넣어 출력합니다.

💡 생활 속 비유:
컵라면에 넣는 물의 양은 매번 다르죠? 이름(name)도 매번 바뀌는 값이에요.


✅ 4️⃣ 함수에서 결과값 돌려주기 (return)

기본 구조:

def 함수이름(입력값):
    실행할 코드
    return 결과값

🔎 예제 3 : 두 숫자를 더해서 결과 돌려주기

코드:

def add(a, b):
    return a + b

result = add(5, 8)
print(f"결과: {result}")

출력:

👉 결과: 13
설명:
ab → 두 개의 숫자를 받을 매개변수입니다.
return a + b → 두 숫자를 더한 값을 함수 밖으로 전달합니다.
result = add(5, 8) → 5와 8을 더한 결과(13)를 result라는 변수에 저장합니다.
print(...) → result에 저장된 값을 화면에 출력합니다.

💡 생활 속 비유:
계산기처럼 두 숫자를 입력하면 더해서 결과를 보여주는 역할이에요.


✅ 추가 예제 : 함수를 이용한 코드 활용 예시

🔎 예제 4 : 할인 가격 계산기

코드:

def calculate_discount(price, discount_percent):
    discount = price * (discount_percent / 100)
    return price - discount

final_price = calculate_discount(50000, 10)
print(f"할인 적용 가격: {final_price}원")

출력:

👉 할인 적용 가격: 45000원
설명:
calculate_discount → 원래 가격과 할인율을 받아 계산하는 함수입니다.
price → 원래 가격, discount_percent → 할인율(%)입니다.
return price - discount → 최종 가격을 반환합니다.

💡 생활 속 비유:
쇼핑몰에서 원래 가격과 할인율을 넣으면 자동으로 할인된 가격을 알려주는 계산기와 같아요.


✅ 오늘 배운 함수 개념 한눈에 정리!

  • def → 함수를 선언하고 이름을 정하는 방법
  • 매개변수 → 함수에 입력값을 전달하는 방법
  • return → 계산 결과를 함수 밖으로 전달하는 방법
  • 함수를 이용하면 반복적인 작업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