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을 배우다 보면 ‘한 번에 많은 데이터를 다뤄야 하는 순간’이 꼭 옵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의 점수를 모두 출력하거나, 과일 목록에서 수박을 찾아야 할 때 말이죠.
이럴 땐 하나하나 비교할 수는 없으니, 파이썬의 리스트(List)와 for 반복문을 활용하면 놀랄 만큼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어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파이썬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리스트와 반복문의 기초부터
조건문과의 결합, 실전 예제까지 친절하고 자세하게 설명드릴게요. 😄
파이썬 for문과 list를 검색하신 분이라면 이 글 하나로 확실하게 정리해보세요!

▶️ 리스트란 무엇인가요?
리스트(List)는 여러 데이터를 한 곳에 모아두는 ‘바구니’ 같은 개념이에요.
fruits = ["딸기", "수박", "참외"]
[]
대괄호 안에 쉼표(,)로 구분된 값들을 넣으면 리스트가 만들어져요.- 이 리스트는 과일 이름 3개를 한꺼번에 담고 있어요.
▶️ for반복문이란?
for문은 리스트 속 데이터를 하나씩 꺼내 쓰는 문법이에요.
fruits = ["딸기", "수박", "참외"]
for fruit in fruits:
print(fruit)
결과:
딸기
수박
참외
fruit
는 반복문이 돌 때마다 리스트에서 값을 하나씩 가져오는 변수예요.- 리스트의 요소 개수만큼 반복하며 print가 실행돼요.
📌 이해 포인트: 리스트의 길이만큼 자동 반복되기 때문에 별도로 ‘몇 번 반복할지’를 신경 쓸 필요가 없어요!
▶️ 조건문과 결합하기 – 예제 1: 점수 중 90점 이상만 출력
scores = [85, 92, 78, 63, 95]
for score in scores:
if score >= 90:
print(f"우수 점수: {score}")
설명:
- 점수 리스트에서 90점 이상인 항목만 골라 출력합니다.
if
조건문이 함께 들어간 구조로, 조건을 만족할 때만 출력되죠.
결과:
우수 점수: 92
우수 점수: 95
▶️ 예제 2: 총합과 개수 구하기 – 5의 배수만
nums = [3, 7, 10, 15, 20, 25]
count = 0
total = 0
for num in nums:
if num % 5 == 0:
count += 1
total += num
print(f"5의 배수 개수: {count}")
print(f"5의 배수 합: {total}")
설명:
- 리스트에서 5의 배수만 골라서 더하고, 몇 개인지도 함께 세요.
%
는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예요.num % 5 == 0
은 5로 나누어떨어지는 숫자를 의미하죠.
결과:
5의 배수 개수: 4
5의 배수 합: 70
🧵 마무리하며 – 파이썬 for문과 리스트, 꼭 알아야 할 이유
리스트와 반복문은 파이썬의 기본 중 기본이에요.
여러 데이터를 다룰 수 있게 해주는 리스트,
그 리스트를 빠르게 스캔하며 조건을 판별하는 for문은
앞으로의 데이터 처리, 챗봇 제작, 자동화 프로그램의 기본 도구가 되어줄 거예요.
이제 여러분도 파이썬 list와 for문을 사용해서:
- 원하는 값만 골라 출력하고
- 조건에 맞게 총합과 개수도 구하고
- 예쁜 출력까지 할 수 있게 되었어요. 🎉
다음 편(5편)에서는 while
, break
, continue
를 사용해서
더 유연하고 다양한 조건을 가진 반복 작업을 배워볼 거예요.
파이썬 자동 반복의 진짜 매력을 느껴보실 준비 되셨나요? 🚀